본문 바로가기

현이의 데일리 공부

탄력동맥(elastic artery)과 근육동맥(muscular artery) 및 모세혈관(Capillary)의 구성 세포 및 종류

반응형

<탄력동맥(elastic artery)>

직경이 1cm 이상으로 엄청 크고 탄력적이며 혈류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aorta, pulmonary artery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1) 속막

- collagen과 elastic fibers로 구성되며 민무늬 근육세포가 주를 이루며 속탄력막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2) 중간막

- 민무늬 근육세포와 탄력판이 동심원상으로 배열되며 그 사이에는 elastic fibers를 갖는 loose connective tissue로 채워집니다.
- 창이 있는 30~75층의 fenestrated elastic laminaw이 동심원으로 배열이 되면 이 창은 동맥벽을 통한 물질이동을 용이하게 합니다.
- gap junction이 발달되어 있으며 Extracellular matrix 합성에 관여하는 부분입니다.

3) 바깥쪽

- 전체 직경에 비해 얇고 바깥탄력막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 Vasotec vasorum, lymphatic capillaries, nerve vascularis가 있습니다.


<근육동맥(muscular artery)>

1) 속막

- 민무늬 근육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탄력막이 뚜렷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2) 중간막

- 민무늬 근육세포가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수축에 의해 혈압이 유지됩니다.
- elastic artery랑 비교하면 민무늬 근육세포는 많이 분포하고 탄력물질은 거의 없습니다.

3) 바깥막

- 속탄력막보다 얇긴하지만 바깥탄력막이 뚜렷이 형성됩니다.
- elastic artery와 마찬가지로 Vasa vasorum, lymphatic vessels, nerve vascularis가 있습니다.


<세동맥(arteriole)>

- 모세혈관으로 흐르는 혈류를 조절하며 precapillary sphincter를 통해 혈류의 방향과 전신 혈압을 조절합니다.


<모세혈관(Capillary)>

내피세포(endothelial cell)과 혈관주위세포(pericyt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endothelial cell은 단층편평상피세포이며 tight junction 및 gap junction으로 연결되어 빠른 신호전달 및 물질운반이 가능합니다.

Pericyte은 모세혈관과 모세혈관뒤세정맥에서 endothelial cell을 둘러싸고 있으며 내피세포와 같은 바닥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세포질 내에 actin, myosin, tropomyosin 등이 있어 수축기능이 있고,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stem cell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세포로 분화됩니다.

모세혈관의 종류는 크게 3가지 'continuous capillary, fenestrated capillary, sinusoidal capillary'가 있습니다.

1) 연속모세혈관(continuous capillary)

- 창이 없는 내피세포와 연속된 바닥판을 이룹니다.
- gas change를 주로 합니다.
- ex> muscle, brain, thymus, lung, bone

2) 창모세혈관(fenestrated capillary)

- 연속모세혈관 대비 물질교환이 용이합니다.
- 창이 있는 내피세포와 pore diaphragm이 있습니다.
(예외: 콩팥에서는 pore diaphragm이 따로 없다)
- 연속된 바닥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endocrine gland, intestinal villi, choroid plexus

3) 굴모세혈관(sinusoidal capillary)

- 혈장과 조직액이 자유롭게 이동합니다.
- 모세혈관 중 직경이 가장 크며 바닥판이 불완전합니다.
- 크고 많은 창이 있는 endothelial cell으로 tight junction과 gap junction으로 이웃 세포 사이 물질교환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 ex> liver, bone marrow, splee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