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이의 데일리 공부

Hypertrophy, Metaplasia, Pathologic atrophy의 종류와 Oxygen deprivation 그리고 reversible injury과 Necrotic cell의 특징 [2023/1/2 daily TIL]

반응형

<Hypertrophy> : An increase in the size of cells, thereby increase in organ size

 

1) Hypertrophy의 원인

- Mechanical stretch 

- hormone

- growth factor 

 

2) Phatological hypertrophy

- Myocardium enlargement 

-> 고혈압이나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동맥이 막히게 되면, Left ventricle이 더 세게 pumping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Left ventricle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고 hypertrophy가 발생하게 됩니다.

 

 

<Pathologic atrophy의 종류>

- disuse atrophy

- denervation atrophy

- diminished blood supply

- inadequate nutrition

- pressure atrophy

 

 

<Metaplasia> : 한 adult cell type이 다른 adult cell type으로 대체되는 변화입니다.

1) squamous metaplasia 

2) metaplasia from squamous cell to columnar cell

3) myositis ossificans

 

 

<Oxygen deprivation>

- ischemic hypoxia: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조직에 산소가 부족한 현상으로 혈관이 막히거나 파괴되는 경우 일어납니다.

산소와 더불어 포도당의 공급도 끊기므로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Hypoxic hypoxia: 혈액 공급은 정상이지만 조직에 산소가 부족한 현상으로 고도가 높은 곳이나,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oary disease)에 의해 폐 기능이 떨어져 혈중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 나타납니다.

 

- Anemic hypoxia: 조직으로의 산소 운반 능력의 감소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혈액량 부족, 헤모글로빈 부족, 일산화탄소 중독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 Histotoxic hypoxia: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은 정상이지만 미토콘드리아 ATP 생성이 방해됩니다. 

 

 

<reversible injury의 특징>

처음에는 oxidative phosphorylation 감소 후에 cellular swelling by ion concentration and water influx 그리고 나서 various intracellular arganelle changes가 일어납니다.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자면, oxidative phosphorylation 감소가 발생하면 ATP가 부족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 세포막의 energy-dependent ion pump의 기능 소실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세포 밖으로 물과 전해질을 내보내지 못해 세포 안으로 오히려 들어오게 됩니다.

 

 

<Necrotic cell의 특징>

1. increased esoinophilia of cytoplasm

2. 더 유리처럼 homogeneous하게 보인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loss of glycogen이라고 합니다. 

3. Vacuolated and moth-eaten appearance by digested cytoplasmic organelles by lysosome

4. dead cell may be replaced by myelin figures(large, whorled phospholipid mass) derived from damaged cell membrane.

-> removed by phagocytosis by other cells degraded into fatty acids -> calcificati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