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유합과 2차 유합>
1) 1차 유합(primary wound healing)
- 조직 손상이 거의 없을 때 일어납니다.
- 조직 손상이 거의 없다 보니 육아조직 형성도 거의 없고 금방 치유됩니다.
- 혈소판과 fibrin으로 구성됩니다.
- 출혈이 나서 곧바로 출혈된 피가 응고해서 나타나는 scab(딱지)가 형성됩니다.
2) 2차 유합(secondary wound healing)
- 조직 손상이 너무 크거나 감염이 되면 봉합을 하지 않고 내버려둡니다. 나중에 재차 봉합을 하거나 스스로 매꿔지는지 관찰합니다.
- 육아조직이 많이 형성되면 myofibroblast도 많아 형성되어 wound contraction이 더 많이, 강하게 일어납니다.
<조직 복구 이상>
조직 복구 이상에는 총 4가지 '복구조직 형성장애, 복구조직이 과도하게 형성, 복구조직의 과도한 수축, 복구조직이 체강(body cavity)에서 형성되어 섬유성 유착(fibrous adhesion)이 형성'이 있습니다.
1) 복구조직 형성장애가 일어난 경우
이때는 wound dehiscence(상처열개) 및 Ulceration(궤양 형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Wound dehiscence는 복구 조직이 잘 형성되지 않으면 상처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복 수술 후에 개복 했었던 부분이 다시 벌어지는 현상이 Wound dehiscence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Ulceration(궤양 형성)은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과 당뇨병으로 인해 혈관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하지 상처 부위에 궤양이 형성되는 것을 뜻합니다.
2) 복구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경우
이때는 우선 exuberant granulation(과다 육아 조직)이 발생하고 keloid나 hypertrophic scar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과다 육아 조직이 발생하면 육아 조직이 피부에서 과도하게 형성이 되어서 피부보다 위로 자라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hypertrophic scar는 fibrosis가 과도하게 형성이 된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데, 수술 부위의 상처가 볼록 튀어나온 형태가 관찰되며 collagen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 심해지면 원래 상처 부위 경계를 넘어 종양처럼 자라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keloid라고 합니다.
3) 복구조직의 상처수축(wound contraction)이 일어나는 경우
우선 관절이 구부러진 상태로 관절운동이 제한되는 상태인 contracture와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hollow organ의 stenosis와 같은 경우도 해당되는데, 예로 소장에서 만성 염증이 발생하면 좁은 내강이 상처 수축으로 인해 협착이 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cardiac valve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 조직이 파괴되어 그 자리에 fibrosis가 생기게 되고 그로 인해 상처 수축이 오게 되어 판막이 좁아지고 잘 닫히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4) 복구 조직이 체강(body cavity)에서 형성되어 섬유성 유착(fibrous adhesion)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 장기의 염증 또는 수술 시 손상에 의해 체강 내에서 섬유성 유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섬유성 유착(fibrous adhesion)은 주로 수술 단계에서 여러 장기들을 자르면서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 부위에서 염증 삼출물인 fibrinous exudate가 과도하게 나오게 되고 이 삼출물이 육아조직을 유도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충혈, 울혈, 부종, 유출>
1) 충혈(hyperemia)
염증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조직의 기능이 항진되거나 자극에 의하여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가 증가한 상태
2) 울혈(congestion)
정맥혈 흐름의 이상으로 인하여 정맥혈이 정맥 또는 모세혈관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
3) 부종(edema)
세포사이의 사이질(간질) 조직 내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
4) 유출(effusion)
체강(body cavity) 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고여 있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