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이의 데일리 공부

Hepatic lobule와 담즙 및 쓸개즙의 이동 경로 그리고 이자(=췌장, pancreas)와 이자섬(pancreatic islet of Langerhans)의 A cell, B cell, D cell

반응형

<Hepatic lobule>


- hepatocyte로 구성된 hepatic plate로 lobule을 구성합니다. Hepatocyte는 exocrine 기능을 해 담즙을 생성합니다.
- hepatocyte 사이에 bile canaliculus가 존재하고 담즙은 bile canaliculus-canal of Hering-bile ductule-bile duct로 이동
- hepatocyte 사이에 모세혈관인 hepatic sinusoid가 존재합니다.
- fenestrated 형태의 endothelial cell과 포식세포인 Kupffer cell로 구성됩니다.
- sinusoid와 hepatocyte 사이에 perisinusoidal space(space of Disse)가 존재합니다.
- perisinusoidal space(space of Disse)에는 perisinusoidal cell이 존재하는데 정상상태일 때는 지방 축적 세포로 기능하지만 변형시 간경화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담즙의 이동>


담세관(쓸개모세관, bile canaliculus) -> 헤링관(canal of Hering)-> 소엽내담소관(intralobular bile duct) -> 소엽사이담관(interlobular bile duct)->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담낭 -> 십이지장(duodenum)
 
이때, 헤링관(canal of Hering)과 소엽내담소관(intralobular bile duct)는 위치가 아닌 세포 구성으로 차이를 판단합니다.
canal of Hering은 벽에 간줄기세포와 담관세포가 혼재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intralobular bile duct는 담관세포만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쓸개즙의 이동>

 
1) intrahepatic bile duct

쓸개모세관(bile canaliculus) -> 종말쓸개세관(terminal bile duct) -> 소엽내쓸개세관(intralobular bile ductule) -> 소엽사이쓸개관(interlobular bile duct)


 
2) extrahepatic bile duct

엽쓸개관(lobar bile duct) -> 좌,우 간관(left, right hepatic duct) ->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 온쓸개관(common bile duct) -> duodenum

 

 

<이자(=췌장, pancreas)>

- pancreas는 외분비 샘이면서 내분비 샘이며 retroperitoneal organ입니다.
- 외분비 부위에서는 이자액(소화효소) 합성되며 장액샘으로 구성됩니다.
- 내분비 부위에서는 인슐린,글루카곤, 그 외의 호르몬이 합성됩니다.

 


[이자섬(pancreatic islet of Langerhans)]

 

1) A cell

- Glucagon을 분비합니다.
- 20%가 존재하며 이자섬 주변부에 존재합니다.
- Glucagon은 Glycogenolysis, lypolysis, 혈액 내 glucose 증가를 유도합니다.


2) B cell

- lnsulin을 분비합니다.
- 70% 이상 존재하며 이자섬 중앙에 존재합니다.
- insulin은 혈액 내 glucose 감소를 유도합니다.


3) D cell

- somatostatin을 분비합니다.
- somatostatin은 lnsulin과 glucagon 분비를 억제하며 위 벽세포 HCI 분비 또한 억제합니다.

 






 
 

반응형